2025년 서울시 인구통계 10년후 예측(노인, 유소년, 청년, 고령인구, 학령인구)

2025년 서울시 인구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25년도 서울시 인구는 현재 927만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1천만의 인구는 아직 보유를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10년이후 인구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 현재 노인 유소년 청년 고령 학령 인구가 어느정도 인지 같이 알아보면 백화점이나 사업을 하려고 하는 분들에게 어떤 인구들이 더 늘어나고 줄어들지를 알면 가게를 차리는데 약간의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자료 근거는 국가 통계청 인구 자료를 분석을 한 것이니 정확도는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민국 인구는 25년 기준 51,684, 564명이고 서울시 인구는 9,339,904명 입니다. 전국을 기준으로 인구 성장율은 -13%를 기록중에 있으며 27년에는 14%까지 감소 예측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1960년 인구는 25,012,374명이었고 중위 연령은 19세 였으며 유소년 인구는 42.3% 비중, 고령인구는 2.9%, 생산연령인구는 54.8%로 구성이 되어 있었으며 노령화 지수(100명당 65세 이상 인구수)는 6.9, 100명당 유소년과 노년 인구 비율을 합산한 총 부양비는 82.6 였다가 현재 2025년은 총 인구 51,684,564명, 중위 연령 46.7세, 유소년 인구 10.2%, 고령인구 20.3%, 생산연령인구 69.5%, 노령화 지수 199.9, 총부양비 43.9로 변화가 되었습니다.

2072년 기준으로 통계청은 대한민국 인구 36,222,293명으로 예측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려면 서울 인구는 어떤 변화를 겪어 왔고 어떻게 예측이 되는지 정리해 봅니다.

서울시 총인구 변화 (2025년 vs 2000년)

  • 2000년 10,078,434명, 유소년 18.6%, 고령인구 5.3%, 생산연령인구 76.1%, 총부양비 31.4, 노령화 지수 28.8
  • 2025년 9,339,904명, 유소년 8.3%, 고령인구 19.9%, 생산연령인구 71.8%, 총부양비 39.3, 노령화 지수 237.9

2025년 서울시 인구 통계 예측 (2040년까지)

아래 표는 코로나 이후 2020년부터 서울시 인구를 년도별로 예측을 한 자료와 함께 2025년 인구와 2040년 인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시 인구는 920만명 정도이지만 2030년에는 894만으로 줄어들고 2040년이 되면 854만명 정도로 추첨하지만 계속 줄어드는 형태로 예측이 됩니다.

2025년 서울시 인구
2025년 서울시 인구

이 자료를 근거로 보면 인구 중에서 심각한 변화를 겪고 있는 인구는 유소년 인구와 노령 인구입니다. 유소년 인구는 감소폭이 크고 노령 인구는 증가폭이 큰 것이 특징으로 유소년 인구는 2024년도에 2020년 대비로 -18%나 감소를 하면서 20년대 99만 정도였던 수치가 81만대로 줄어든 상태이고 이중에서 0~5세 초등학교 인구가 -33%로 감소를 한 상태 입니다. 이 변화는 지속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노령인구는 반대로 20%나 2020년 대비 2024년 증가를 한 상태이며 구성비로만 보면 2020년 15.4%였던 65세 이상 노령인구가 19%까지 엄청난 속도로 올라왔으며 148만이었던 노령인구가 177만정도까지 현재 늘어난 상태입니다.

결국 14세까지의 유소년 인구는 18~22%정도 줄어드는 대신에 65세이상의 고령인구는 20%이상으로 늘어나는 구조가 되고 있습니다.

유소년, 생산연령, 고령인구 나이 기준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유소년 인구, 생산연령, 고령인구 나이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중에서 유소년 인구는 향후 생산연령인구를 떠 받쳐주는 인구이기 때문에 감소가 크다면 큰 문제가 되고 노령인구가 많이 늘어난다는 것은 비용 관점에서 태어나는 세대가 그만큼 큰 비용을 지불을 해야 하기 때문에 세대간 격차와 세대간 불화 등이 늘어날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고 해야 합니다.

  • 유소년 인구 나이기준 : 0~14세
  • 생산연령 인구 나이기준 : 15~64세
  • 고령인구 나이기준 : 65세이상

생산인구는 바로 이 유소년인구와 고령인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면 생산인구 변화를 예측이 가능합니다.

우리나라의 유소년 인구 변화는 현재 심각한 수준으로 출산율이 0.7%대라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드러나는데요 향후 2040년까지 더 심화하는 구조로 보입니다.

2030년에는 2020년대비로 전체 서울시 인구는 -7%가 감소한 895만명이 되며 이때 유소년 인구는 -36%, 노령인구는 +59%가 2020년 대비로 증가하는 수치로 예측이 됩니다. 이로 인해서 생산연령인구는 -14%가 감소하여 715만이던 생산연령인구가 2030년에는 613만으로 감소를 하게 됩니다.

현재는 탄핵을 받은 윤석열 대통령도 자녀가 없이 대통령에 당선된 부부인데요 차후에 대통령이 되는 기준으로 최소 3명의 자녀가 있는 다둥이 부부가 대통령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젊은 사람들이 자녀 없는 부부가 대통령이 되는 것을 보고 따라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들기 때문입니다.

년도구분20202024증감
(2020대비)
20252030증감
(2020대비)
203120352040
서울시총인구9,617,7959,271,433-4%9,209,9888,947,637-7%8,902,5478,745,3438,539,824
서울시유소년인구: 계(0-14세) (명)988,598806,312-18%767,692629,114-36%614,154624,728687,468
서울시생산연령인구: 계(15~64세) (명)7,152,4456,696,761-6%6,589,2126,130,546-14%6,045,7245,645,3645,124,582
서울시고령인구: 계(65세 이상) (명)1,476,7521,768,36020%1,853,0842,187,97748%2,242,6692,475,2512,727,774
서울시- 구성비: 0-14세 (%)10.38.7-16%8.37-32%6.97.18.1
서울시- 구성비: 15-64세 (%)74.472.2-3%71.568.5-8%67.964.660
서울시- 구성비: 65세 이상 (%)15.419.124%20.124.559%25.228.331.9
서울시학령인구: 계(6~21세) (명)1,294,9431,098,572-15%1,065,348880,311-32%844,903726,218662,271
서울시학령인구: 초등학교(0~5세) (명)357,331241,183-33%225,781247,655-31%262,372309,416310,465
서울시학령인구: 초등학교(6~11세) (명)415,183360,518-13%336,656218,542-47%205,427212,154268,489
서울시학령인구: 중학교(12~14세) (명)216,084204,611-5%205,255162,917-25%146,355103,158108,514
서울시학령인구: 고등학교(15~17세) (명)225,100211,531-6%207,024191,788-15%186,072133,55296,193
서울시학령인구: 대학교(18~21세) (명)438,576321,912-27%316,413307,064-30%307,049277,354189,075
2025년 서울시 인구 노년, 유소년, 노령 인구

어찌 되었던 서울시 인구는 현재 큰 폭의 감소를 하고 있고 특히 노령인구로 변화가 된 주택단지나 아파트 단지가 많은 곳의 쇼핑몰이나 백화점은 이제 자산은 늘어나게 보일 지 모르지만 소비는 이제 거의 하지 않는 지역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지고 실제로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지역이 도봉구 성북구 노원구 등이 있습니다.

젊은 세대가 줄어드는 것이라고 봐야 하는데요 인구 랭킹은 서울지역에서 높을지 모르지만 이제 그만큼 소비력 지수가 감소를 해서 해당 지역의 소비 심리는 높다고 보시면 안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온라인을 직접하면서 인건비를 줄이고 단골을 그 지역에 오래 살면서 많이 확보하거나 정말 맛이 있거나 자기 자본이 많은 사업주들이 더 살아 남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 합니다.

서울시 인구중에서 현재 인구 감소가 심한 지역은 종로구, 성동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입니다. 25개의 지역구로 나누고 있는 서울지역에서 유독 인구 감소가 7% 감소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런 지역은 2030년도를 기준으로 2020년 코로나 시점 기준으로 보면 10%이상의 인구 감소가 예상이 되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소비가 더 감소하는 지역의 특성 2가지

서울지역 전체 인구 감소는 25년 기준으로 20년 대비로 -4%정도 입니다. 평균 감소폭에 비해 거의 2배 정도 감소(-7%)를 하는 것이니 심각하지 않을 수 가 없습니다. 인근 경기지역으로 새로운 아파트 촌이 생긴 경우는 더 심각하고 그 새로운 지역에 쇼핑몰이 생기는 경우는 매출 감소는 더 심각하다고 보여집니다.

  • 노령인구가 급격이 늘어나는 지역으로 변화 된 경우
  • 출산율이 감소하여 유소년 인구가 줄어는 경우
  • 주변 외곽지역에 대형쇼핑몰이 생기거나 아파트 개발이 이뤄진 경우

현재 감소를 했더라도 새로운 변화가 더딜 경우는 그 정도는 심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젊은 외국인들이나 어느 정도 소비력을 가지고 있는 30~50대 미만 나이대가 유입이 되지 않는 경우는 어렵다고 봐야 합니다.

대한민국 서울기준20202024증감
(2020대비)
20252030증감
(2020대비)
20352040증감
(2020대비)
서울시총인구9,617,7959,271,433-4%9,209,9888,947,637-7%8,745,3438,539,824-11%
종로구총인구152,056141,438-7%139,370133,087-12%129,774126,884-17%
중구총인구129,218122,700-5%121,120115,520-11%112,636109,853-15%
용산구총인구225,380215,882-4%213,783206,219-9%201,003195,880-13%
성동구총인구294,432274,082-7%271,865267,667-9%264,320258,431-12%
광진구총인구355,958339,526-5%336,236321,974-10%312,026303,255-15%
동대문구총인구352,888338,547-4%334,658319,541-9%311,684303,584-14%
중랑구총인구384,528376,454-2%374,744365,568-5%358,073349,851-9%
성북구총인구441,745425,299-4%420,115396,986-10%382,638369,977-16%
강북구총인구302,105281,112-7%278,538270,403-10%264,134257,868-15%
도봉구총인구318,960296,960-7%294,251286,892-10%281,770276,418-13%
노원구총인구516,456482,255-7%476,853458,010-11%444,897433,137-16%
은평구총인구461,528453,471-2%452,213446,544-3%441,213434,440-6%
서대문구총인구317,188304,985-4%302,149292,672-8%287,874282,629-11%
마포구총인구367,091356,000-3%353,509343,141-7%334,655325,961-11%
양천구총인구441,402421,246-5%418,736409,151-7%400,042391,750-11%
강서구총인구569,177554,145-3%553,983553,697-3%549,933541,942-5%
구로구총인구434,846411,626-5%407,557396,716-9%388,427379,041-13%
금천구총인구249,361246,705-1%244,822233,100-7%225,405218,872-12%
영등포구총인구399,825391,671-2%386,595367,130-8%354,156342,735-14%
동작구총인구395,249381,596-3%379,446370,746-6%364,642357,056-10%
관악구총인구505,188484,692-4%480,294458,830-9%444,109431,692-15%
서초구총인구405,077383,165-5%382,993381,255-6%376,077369,810-9%
강남구총인구509,281506,190-1%507,421501,562-2%488,502476,562-6%
송파구총인구645,798640,159-1%639,612622,386-4%606,806590,828-9%
강동구총인구443,058441,5270%439,125428,840-3%420,547411,368-7%

위 서울 지역 25개 지역의 인구 변화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40만 이상 인구를 가지고 있는 지역은 총 10 지역이 있습니다. 인구 40만이 넘는 지역중에서 유일하게 인구 감소가 거의 없다고 봐야 하는 지역은 강남, 송파, 강동, 은평구 지역입니다.

서울시 인구 랭킹

이런 지역이 만약 생산연령인구와 유소년 인구 감소가 적다면 향후 이 지역에 대형 쇼핑몰이 더 필요하다고 보여 집니다. 물론 땅값이 문제이겠지만 말입니다.

대한민국 서울기준20202024랭킹증감
(2020대비)
서울시총인구9,617,7959,271,433**-4%
종로구총인구152,056141,43824-7%
중구총인구129,218122,70025-5%
용산구총인구225,380215,88223-4%
성동구총인구294,432274,08221-7%
광진구총인구355,958339,52616-5%
동대문구총인구352,888338,54717-4%
중랑구총인구384,528376,45414-2%
성북구총인구441,745425,2998-4%
강북구총인구302,105281,11220-7%
도봉구총인구318,960296,96019-7%
노원구총인구516,456482,2555-7%
은평구총인구461,528453,4716-2%
서대문구총인구317,188304,98518-4%
마포구총인구367,091356,00015-3%
양천구총인구441,402421,2469-5%
강서구총인구569,177554,1452-3%
구로구총인구434,846411,62610-5%
금천구총인구249,361246,70522-1%
영등포구총인구399,825391,67111-2%
동작구총인구395,249381,59613-3%
관악구총인구505,188484,6924-4%
서초구총인구405,077383,16512-5%
강남구총인구509,281506,1903-1%
송파구총인구645,798640,1591-1%
강동구총인구443,058441,52770%
2025년 서울시 인구 랭킹 증감율

서울 지역의 인구 랭킹 순위는 1위 송파, 2위 강서, 3위 강남, 4위 관악, 5위 노원구 순입니다.

서울지역 인구 랭킹 순위

  1. 송파구 – 640,159명
  2. 강서구 – 554,145명
  3. 강남구 – 506,190명
  4. 관악구 – 484,692명
  5. 노원구 – 482,255명

6위~10위는 은평, 강동, 성북, 양천, 구로 지역 순입니다.

노원구 인구 변화

이중에서 제가 살고 있는 노원구 인구의 경우는 또 다른 형태로 진화를 하고 있습니다. 노원구는 서울지역에서 인구가 5번째 많은 지역입니다. 주변 강북 도봉지역은 인구가 동일한 비율로 감소를 하고 있고 중랑구 지역은 인구감소가 2%대로 적은 편입니다.

과거에는 노도강 지역으로 그 위새가 큰 지역이었지만 최근 5년간 인구 변화는 큰 지역으로 소상공인들이 제일 힘들어 하는 지역이 되었습니다.

image 3

상위 5개 인구수 랭킹 지역중에서 10년 단위를 기준으로 큰 변화를 겪을 지역으로는 2개 지역으로 강남과 노원지역입니다.

대한민국 서울기준20202024랭킹증감
(2020대비)
20252030증감
(2020대비)
20352040랭킹증감
(2020대비)
노원구총인구516,456482,2555-7%476,853458,010-11%444,897433,1375-16%
은평구총인구461,528453,4716-2%452,213446,544-3%441,213434,4404-6%
강서구총인구569,177554,1452-3%553,983553,697-3%549,933541,9422-5%
강남구총인구509,281506,1903-1%507,421501,562-2%488,502476,5623-6%
송파구총인구645,798640,1591-1%639,612622,386-4%606,806590,8281-9%
2025년 서울시 인구 TOP 5지역

2030년, 2040년 10년 단위 기준으로 통계청에서 바라본 인구 변화가 큰 2개 지역은 물론 상위 5개 지역 랭킹에 포함이 되겠지만 감소폭이 클 지역으로 노원구와 강남구 지역입니다.

노원구는 2025년도에도 인구가 많이 감소했지만 2030년 2020년보다 11%가 더 감소하고 2040년에는 2020년대비 16%가 감소를 하게 됩니다. 주변 남양주 진접 등으로 아파트와 쇼핑몰이 개발 되면서 큰 영향이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있고 강남지역은 2030년은 큰 감소는 아니겠지만 2040년에는 아파트 가격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인해 감소가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인근 지역으로 보이는 도봉, 강북, 성북구 지역이 같은 비율의 인구 감소가 예상이 되고 있어서 성급한 결론을 내리는 것이라고 보여질 수 있겠지만 추세를 지연시키는 큰 변화와 차별화가 없을 경우 이 지역 내 매출 감소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서울시 인구 정보 및 예측 마무리

서울시 인구는 1천만 시대를 코로나를 겪으면서 마무리를 했습니다. 또한 인근 경기도 주변지역으로 아파트와 대형몰, 주거 단지, 관공서 등이 개발이 되는 지역으로 젋은 인구가 편입이 되면서 서울시 인구 감소는 대세로 보입니다.

특히 인구 감소를 보면서 예전에는 어땠는데 지금은 어떻다고 하면서 과거의 영화와 흥했던 모습을 비교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좋은 기억들이 많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북적대고 사람들과 부딛치며 지역별로 특화된 모습으로 발전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추억에 잠기기도 합니다.

어떤 지역의 인구는 개발과 관공서, 쇼핑몰 등 큰 대형 개발 호재에 따라 인구 변화가 따라 오기 때문에 어쩔 수 없기 때문에 그 안에서 나름 더 성공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단골 관리와 차별화 만이 살 길이라는 것을 다시한번 느끼게 하는 인구 통계 자료를 준비를 해 봤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인구 통계 관련해서는 모바일로 국가 통계청 자료를 볼수가 있는데요 아래 링크를 통해 대한민국 인구 관련 주요 지표 통계 자료를 확인도 가능합니다.

생활정보 관련글 더보기

연말정산 미리보기 및 기부금 등록 방법 2가지(회사, 국세청 홈텍스)

고령 운전자 면허반납 인센티브 20만원 수령방법(2025년)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